반도를 둘러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대립
그리고 그 안에는 민족 갈등과 국가간의 이해관계가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 시사YA
▶크림반도 사태란?
-크림반도 내의 친러파와 친EU파의 갈등, 나아가 크림반도를 둘러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영토분쟁이다.
▶사건의 발달!
1954년 : 우크라이나 출신의 소련 서기장을 지낸 흐루쇼프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주면서 분쟁은 시작되었다. 그후 우크라이나 민족은 우크라이나인으로 구성된 서부와 대부분 러시아인으로 구성된 동부로 나누어지게 되면서 잦은 민족 간의 다툼을 이어가게 된다.
2013.11.21.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EU와의 협력협정 체력 잠정 중단”
EU와 협정을 찬성하던 시민들의 대규모 항의 시위가 시작된다.
야권시위대는 키예프 광장에 있던 러시아 공산혁명의 지도자인 레닌동상을 철거했다.
2013.12.14.
EU “우크라이나 협력협정 협상 잠정 중단 선언”
이로인해 야권의 대규모 공중 집회가 열린다.
2014.01.16.
여당이 “집회·시위 규제 강화법을 통과”하면서 시위는 격화되었다.
2014.01.28.
니콜라이 아자로프 우크라이나 총리가 사퇴한다.
2014.02.18.
키예프에서 시위대와 경찰이 유혈 충돌, 26명이 사망했다.
시간이 흐르고 소치동계올림픽이 막바지로 치닫던 2014.02.21.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키예프에서 하리코프로 피신했다. (자신의 지지기반인 동부로 피신) 약 일주일 후 러시아로 신변보호를 요청한다.
2014.02.28.
러시아 전투기가 뜨고 크림반도 공항에는 무장 세력이 점거하였으며 추가로 2000명의 병력이 배치되었다. 일촉즉발의 긴장상태가 되었다.
2014.03.01.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크림반도로 인한 러시아의 군사행동을 경고한다.”라고 말했으나
푸틴은 “우크라이나 내에서 군사력 사용에 대해 승인한다.”라고 말한다.
2014.03.16.
크림반도 공화국은 ‘러시아 귀속에 대한 주민투표를 실시’ 했고 이로인해 긴장은 고조되어만 간다.
쉽게 설명한다면 크림반도를 갖기 위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분쟁을 뜻한다. 하지만 이 문제는 비단 두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점점 국제적인 문제로 불거지는데...
출처 : 시사YA
▶크림반도 사태 대립의 요지 (‘최적의 러시아 군사 요충지’ 국제사회가 크림반도에 집착하는 이유)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노리는 이유는 지정학적인 이유가 크다. 터키 북부 및 지중해와 이어져있는 크림반도는 중동이나 발칸반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러시아가 반드시 세력범위로 넣어야한다.
지난 230년간 러시아는 크림공화국 남부 항구도시인 세바스토폴 항구에 자국함대를 주둔시켜왔다. 겨울이면 해안 대부분이 얼어붙는 러시아에게 크림반도는 중요한 군사 요충지이다. (겨울에도 얼지 않는 부동항) 하지만 소련이 해체되면서 흑해함대의 통제권에 대한 다툼이 시작되었고 이후 1995년 흑해함대 분할 소유에 합의한 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돈을 주고 2017년까지 빌린다.
그만큼 크림반도는 지정학적으로 러시아에게 중요한 곳이다.
지난 0214.03.16일 크림반도 주민투표 결과 96.8%가 러시아 귀속에 찬성했다. 이에 03.19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크림자치공화국에 ‘러시아 합병 조약’ 서명했다. 이런 푸틴의행동에 서방국가는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며 제지에 나섰고 2014.03.24~25,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핵 안보 정상회의'에서 러시아를 제외한 G7, EU 정상들은 크림반도 사태에 대해 논의했다.
그동안 러시아는 사실상 유럽의 가스공급을 지배해 왔다. 유럽으로 공급되는 가스양의 30%가 러시아에서 공급했기 때문이다. 이런 경제적인 이해관계 때문에 유럽은 러시아에 강력한 제제를 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이에 미국이 가스공급을 해주겠다고 나서면서 (미국의회 ‘셰일가스 유럽수출 허용’법안 발의) 변화가 예상된다.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크림반도 사태, 국제사회 경쟁이 아닌 공생으로 살아갈 순 없는가?
'기사 읽기 > 그것이 알고 싶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타파] 박근혜 대통령 신년기자회견을 파헤치다! (0) | 2015.01.13 |
---|---|
[국내] 이것이 진짜 명품 아파트! 경비 아저씨 울린 진정한 주민들 (0) | 2015.01.09 |
[뉴스타파] 대한민국의 충격적인 부동산 민낯 (0) | 2015.01.08 |
[국내] 정윤회 문서유출 사건이 알고 싶다! (0) | 2015.01.07 |
[국내] 한국의 비정규직, 이건 아니야! (0) | 2014.12.31 |